역사이야기

사육신

수미심 2014. 5. 3. 07:32

사육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노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   사육신과 생육신 등의 신하들을 통칭하여 다른 훈구파와 구별하여 따로 절의파(節義派)로 부르기도 한다. 이들의 시신은 노량진 근처에 매장되어 있다.

사육신이 세조덕종, 예종 삼부자를 연회장에서 척살할 계획으로 유응부, 성승, 하위지를 별운검으로 세조 3부자의 뒤에 세웠다가 3부자의 목을 벨 계획을 세웠으나, 거사 동조자 중 김질이 장인 정창손의 설득으로 거사를 폭로함으로써 실패로 돌아간다. 단종복위운동의 실패로 관련자 500~800여명이 처형, 학살되었으며, 사육신 중 직계 후손이 전하는 인물은 박팽년하위지만이 유일하다.

그 밖에 사육신 가문의 가까운 친인척 중 살아남은 인물은 이개의 종증손이 토정비결의 저자 이지함이고 종고손은 북인당수 이산해였다. 생육신의 한사람인 성담수가 사육신 성삼문의 6촌 동생이었다.

사육신 가문의 여성들은 공신들의 종과 노리개, 첩으로 분배되었으며 권영금 같은 이는 권람의 친족인 덕에 욕을 모면하였다. 사육신은 성종 때부터 도학을 좇는 분위기가 나타나 동정의 대상이 되다가 숙종때부터 영조노론 강경파들에 의해 복권되었다.


세종대왕이 죽으면서 자신의 장남 향 도 오래 못살 것이라 판단하고 집현전 학사들을 불러 어린 손자 홍위를 부탁할 것을 유언하였다 한다. 단종이 강제로 폐위되자 이들은 세조 암살을 통해 단종의 복위를 꾀하였으나, 밀고자에 의해 적발되어 혹독한 고문끝에 일가족과 함께 새남터에서 참수형으로 처형당했다. 당시 시체는 처형장인 새남터에 그대로 버려졌으나, 생육신중 하나인 매월당 김시습에 의해 몰래 매장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 노량진에 사육신을 기념하는 묘지가 있다.

사육신은 성삼문, 하위지, 유응부, 박팽년, 이개, 유성원 여섯 명이고, 기타 윤영손(尹鈴孫), 김문기와 성승, 김질, 권자신(權自愼) 등이 가담했다. 그리고 신숙주는 참여를 거부하였다. 그러나 김질이 끝에 장인 정창손에게 이 사실을 누설했다가, 정창손 등의 설득에 넘어가 계획을 폭로하게 되면서 사육신과 유응부, 성승 등은 모두 참살당했다. 한편 사육신 집안의 여성들은 난신에 관계된 부녀자라 하여 노비가 되거나 관노, 기생 등으로 끌려갔다가가 뒤에 일부 석방되었다.

사육신의 시신은 성삼문의 사위인 박임경이 수습하여 한강노량진에 매장하였다.

남효온은 김문기가 아닌 유응부를 사육신으로 기술하였으며 보통 유응부가 사육신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견해에는 김문기가 사육신이라는 설도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백촌 김문기를 사육신에 포함하는 의견을 낸 일이 있으며], 1978년 기존 사육신에, 백촌 김문기 선생을 추가로 사육신에 현창하였다. 노량진 사육신 묘역 조성 당시, 기존의 사육신 묘와 함께 김문기의 허묘와 위패가 추가로 봉안 되었다. 이후 아직도 사육신에 관한 논란이 있다.  김녕 김씨 충의공파(백촌 김 문기) 27대손

단종 복위 운동

1456년 세조 2년 6월 창덕궁에서 명나라 사신을 향응하는 기회를 타서 거사하기로 하였으나 계획이 어긋나자 김질·정창손 등은 사태의 불리하자 거사를 밀고하였다. 세조는 곧 성삼문 등에게 참혹한 고문을 가했으나 모두 굴하지 않았으므로 성삼문·박팽년·유응부·하위지등은 거열형에 처해져 찢겨져 죽었고 유성원은 자기 집에서 자살한 후 역시 거열형을 당했다.이들을 사육신이라 부르며, 이에 연루된 자로 권자신·김문기 등 70여 명도 모두 처벌되었다.

사형

사육신 중 하위지유응부는 세조가 죄를 시인한다면 살려주겠다고 하였으나 스스로 사양하고 죽음을 택했다. 사육신과 그 가족들은 본인과 아버지, 형제, 아들, 손자, 조카까지 모두 연좌되어 처형당했고, 생후 1년, 2년된 어린 남자아이는 입에 소금을 채워 질식사시키거나 나이가 찬 뒤에 처형하였다.

백부, 숙부, 조부, 종조부, 사촌까지는 노비로 보내지거나 관노로 고을에 영속되거나 병사로 충군당했고, 5촌 이상은 유배형을 당했다. 사육신 사건으로 500여 명에서 800여 명이 처형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후

사육신 일족 중 후손이 생존하고 있는 집안은 박팽년가와 하위지 가문이 있다. 하위지의 조카 중 하포, 하박, 하원 등은 미성년자라서 처형되지 않았고, 박팽년의 며느리 이씨는 자신이 낳은 아들과 박팽년가의 노비로 함께 끌려온 여종의 딸을 바꾸어서 자신의 딸이라 주장하여 아들을 살렸다. 아들 박비는 성종 때에 자수하여 특별히 사면되고 박일산이라는 이름을 얻기도 했다.

사육신의 시신이 매장된 뒤 세조는 이를 보고 당대에는 역적이지만 후대에는 충신이 되겠다고 한탄한 바 있다. 한편 사육신의 편에서 세조의 편으로 전향한 신숙주, 김질, 정인지는 배신자의 상징처럼 여겨져 비판과 지탄, 조롱의 대상이 되었다.

사육신은 사후 중종 때 가서야 복권의 움직임이 시작되었고, 현종송시열, 김수항 등이 사육신의 복권을 청하는 상소를 계속 올려 영조, 정조 때에 관작이 복구되고 증직과 시호가 내려졌다. 1782년 정조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박팽년을 추모하여 노량진에 조선육신 이라는 신도비를 세워주었다. 추후, 박정희 정권 때 국사편찬위원회에 의해 김문기를 기존 사육신에 추가로 현창하였다. 김문기의 가문은 현재 다수가 생존하고 있다.

시신의 매장[편집]

노량진 사육신 공원의 사육신묘

사육신의 시신은 누가 매장하였는지 정확하게 알려져있지 않다. 통설에 의하면 매월당 김시습이 비밀리에 사육신의 시신을 한강변에 매장했다고 한다.

비밀리에 사육신의 시신을 수습한 이는 어느날 야밤에 성삼문, 하위지, 유응부, 유성원, 이개, 박팽년의 시신과 박팽년의 형제들과 부친 박중림, 성삼문의 형제들과 성승의 시신을 한강이 내려다 보이는 노량진에 안장하였다.

이때 박팽년의 형제들과 부친을 근처에 묻고 박씨지묘라는 비석을 따로 더 세웠고, 성삼문의 형제들의 시신을 성삼문 묘 근처에 묻고, 성승의 묘는 성삼문의 묘의 앞쪽 혹은 뒷쪽에 묻고 성씨 지묘 라고 쓴 비석을 두 기를 더 세웠다.

그러나 후일 성승의 묘로 전하는 묘소는 실전되었고, 후대에 충청북도 홍성군성승 장군과 그보다 앞서 사망한 본부인의 묘소가 조성되었다. 그러나 성승의 묘소에 실제 성승의 시신이 있는가 여부는 불투명하다. 근처에는 성삼문의 생가와 사육신 사건 이전에 사망한 성삼문의 본부인 묘소도 있다.

사육신 가문의 여성들[편집]

사육신이 죽은 뒤 사육신 가문의 여성들은 공신의 노비와 관청의 기생, 관비로 분배되었다. 공신의 한사람인 권람은 자신의 5촌 조카딸인 권영금을 분배받는 식으로 일부 친족에게 정속된 여성들도 있었지만, 대부분 공신가에 종과 노리개로 분배되었다. 사육신은 절개를 지키다 죽었지만 사육신 가문의 여성들은 대부분 공신들에게 겁탈당했거나, 절개를 지키지 않고 공신의 첩이 되거나 아부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절개를 지키지 않고 공신의 첩이 된 여성들을 비판한 기사가 수록되어 있었지만, 사육신 가문의 아내와 딸 중 공신들의 성노리개로 겁탈당한 여성들의 기록은 실리지 않았다.

그중 박팽년의 형수로 봉석주의 첩이 된 윤씨는 윤연령의 딸이며, 후일 선조 때의 형제 정승 윤근수, 윤두수 형제의 증대고모가 된다. 윤씨는 난신에 연좌된 부녀자들의 존재가 언급된 기사에난 나타않던 여성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녀가 봉석주의 첩이 되기를 자처한 것 등만 문제시되어 지탄의 대상이 되다.

사육신의 명단


  1. 성삼문
  2. 하위지
  3. 유응부
  4. 박팽년
  5. 이개
  6. 유성원

사유신 참고

사육신의 한사람인 백옥헌(白玉軒) 이개의 종증손이 토정비결의 저자로 유명한 조선 중기의 학자 토정 이지함이고, 학자 성암 이지번이다.

백옥헌 이개의 종고손은 조선중기의 동인, 북인의 당수였던 아계 이산해(李山海)였다.

또한 성삼문의 6촌 동생인 성담수생육신의 한사람이었고, 성담수의 동생이자 성삼문의 또다른 6촌 동생인 성담년성종 때 출사하였다. 생육신 성담수성담년의 외조카이며 성삼문의 7촌 외조카는 중종 때의 훈구파 영의정 경재 이기였다.

사육신 명단 논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김문기묘

부산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인 이재호는 자신의 저서에서 국사편찬위원회의 1978년에 있었던 판정은 당시 권력자였던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의 압력을 받은 결정이라고 주장하면서, 중앙정보부장이 자신의 가문의 조상인 김문기를 사육신의 일원으로 넣으려는 권력자의 의도라고 반박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김문기는 단종 복위에 가담한 삼중신 중의 한 명으로, 사육신과는 별도로 위패를 모셔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육신 유응부 주장 측

  • 이가원, 중앙일보, 1977년 10월 2일
  • 김성균, 동아일보, 1977년 9월 30일, 10월 12일
  • 이재범, 한국일보, 1977년 11월 3일
  • 정구복, 전북대학신문, 11월 11일

사육신 김문기 주장 측

  • 김창수, 동아일보, 1977년 9월 26일, 10월 7일
  • 이현희, 중앙일보, 1977년 10월 2일[5]

생육신 참고

사육신과는 별도로 관직에 나가기를 거부한 생육신도 있다. 생육신의 명단에도 논란이 있어 남효온을 생육신으로 간주하는 주장과 권절을 생육신으로 주장하는 견해가 나뉘어 있다.

  1. 김시습
  2. 성담수(成聃壽)
  3. 원호
  4. 이맹전
  5. 조려
  6. 남효온
  • 권절(權節) : 남효온 대신 생육신에 꼽히기도                          

    사육신 (死六臣)

      단종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악형(惡刑)에도 굴하지 않고 순사(殉死)한 조선 전기의 6총신으로서 성삼문(成三問:承旨) ·박팽년(朴彭年:刑曹參判) ·하위지(河緯地:禮曹參判) ·이개(李塏:直提學) ·유응부(兪應孚:中樞院同知事) ·유성원(柳誠源:司藝) 등을 말한다. 이들은 전에 집현전 학사로서 세종의 신임을 받고, 문종으로부터는 나이 어린 세자(단종)를 잘 보필하여 달라는 고명(顧命)을 받은 사람들로서, 단종의 숙부 수양대군이 1453년(단종 1)의 계유정난(癸酉靖難)을 통하여 안평대군(安平大君)과 황보 인(皇甫仁) ·김종서(金宗瑞) 등 3공(公)을 숙청하여 권력을 독차지한 끝에 1455년에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하자, 동조자를 규합하여 단종을 다시 왕위에 앉힐 것을 결의하고 그 기회를 살피고 있었다. 이들은 1456년 6월 본국으로 떠나는 명나라 사신(使臣)의 환송연에서 성삼문의 아버지 성승(成勝)과 유응부가 국왕 양쪽으로 칼을 들고 지켜서는 운검(雲劍)이란 것을 하게 됨을 기화로 세조(수양대군) 일파를 처치하기로 결정하였으나 이 사실이 사전에 누설되어 계획은 좌절되었다.

      이들의 계획이 일단 좌절되자 같은 동지이며 집현전 출신인 김질(金綢) 등은 뒷일이 두려워 세조에게 단종복위음모의 전모를 밀고하여 세조는 연루자를 모두 잡아들여 스스로 이들을 문초하였다. 성삼문은 시뻘겋게 달군 쇠로 다리를 꿰고 팔을 잘라내는 잔학한 고문에도 굴하지 않고 세조를 ‘전하’라 하지 않고 ‘나리’라 불러 왕으로 대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사람들도 진상을 자백하면 용서한다는 말을 거부하고 형벌을 당했다. 성삼문 ·박팽년 ·유응부 ·이개는 작형(灼刑:단근질)으로 처형당하였고, 하위지는 참살당하였으며, 유성원은 잡히기 전에 자기 집에서 아내와 함께 자살하였다. 또한 사육신의 가족으로 남자인 경우는 모두 살해당하였고, 여자의 경우는 남의 노비로 끌려갔으며, 사육신 외에도 김문기(金文起) ·권자신(權自愼) 등 70여 명이 모반 혐의로 화를 입었다. 사육신은 1691년(숙종 17) 숙종에 의해 관직이 복구되고, 민절(愍節)이라는 사액(賜額)이 내려짐에 따라 노량진 동산의 묘소 아래 민절서원(愍節書院)을 세워 신위(神位)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두산대백과사전>참고

                                 
    중은의 풍수이야기(11) - 사육신 중 유일한 후손 발복지
    대구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환포장풍 형상의 전형적 명당, 이병철회장부인 출생지로 유명
    기사입력 | 2014-02-25

    양동주 精通風水地理硏究學會

    대구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는 대구 도심에서 서쪽으로 약20㎞ 떨어진 마을이며 달성군 다사읍에서 성주군 쪽으로 가다가 칠곡군 왜관읍 방향으로 약4km 들어가면 오른쪽 좁은 길로 접어들면 묘리가 있다. 묘리(妙里)는 밖에서 마을을 볼 수 없고 안에서도 마을 밖을 볼 수 없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이다. 주민들은 '묫골'이라고 부르고 있다. 사찰의 일주문처럼 생긴 '충절문'을 지나 마을에 들어서면 길 양쪽에 50여 채의 한옥이 있으며 북쪽 끝에는 사당인 '육신사(六臣祠)'가 있다. 조선 세조 때 단종 복위운동을 하다 숨진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 등 사육신(死六臣)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사육신 사당은 의절사(서울 노량진동)·창절사(강원 영월군)와 육신사 등 전국에 모두 세 곳이다. 사육신의 묘소가 있는 곳에 의절사, 단종의 능이 있는 곳에 창절사가 있다.

    묘리는 사육신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그러나 박팽년(1417∼56)의 후손이 이곳에 살고 있다. 그는 충남 회덕(현 대전시 동구) 출신이다. 연고가 전혀 없는 곳에 후손인 '묫골 박씨'(순천 박씨 충정공파)가 뿌리를 내린 것이다.

    단종 복위에 연루된 박팽년은 아버지와 아들 셋도 모두 처형됐다. 이때 그의 둘째 며느리 성주 이씨가 친정인 묫골로 쫓겨 온다. 이씨의 임신 사실을 안 조정에서는 아들을 낳으면 죽이고 딸을 낳으면 관비로 만들라고 지시했다. 이씨는 아들을 낳았으며 때마침 딸을 낳은 여종이 있어 아이를 바꾸면서 목숨을 부지했다. 이 아들이 박팽년의 손자인 박일산(1456∼?)이다. 묫골 박씨의 입향조(入鄕祖)인 셈이다. 사육신의 제사를 지내기 시작한 사람은 일산의 손자인 계창(1523∼71)이었다. 그는 고조부인 박팽년의 제사를 지낸 뒤 잠이 들었다. 꿈속에 사육신 중 나머지 5명이 초췌한 모습으로 나타나 사당 앞에서 서성거리는 것을 보았고 이들 모두 대가 끊긴 사람이라는 사실을 깨닫고는 제사를 지내기로 했다는 것이다.

    묘리를 풍수지리적으로 살펴보면 낙동정맥에서 분맥한 팔공산맥에서 서쪽으로 가산산성과 백운산을 거치면서 크게 동에서 서쪽으로 다시 남으로 방향을 틀면서 맥을 이어가고 있다. 황학산과 자봉산을 거쳐 왜관산업단지의 주산에 이르며 여기서 산세는 낮고 순하게 변화하고 진행하면서 굴곡하여 낙동강과 나란히 용맥은 남으로 이어간다. 이렇게 용맥이 진행되어 나아가는 중에 중앙고속도로와 5번지방도로 그리고 경부선과 경북고속도로 인하여 맥이 끊어진 듯 이어가고 있으며 묫골 뒷산에 이르러 크게 학이 날개를 펴듯 용세는 좌우로 펼치고 다시 양팔로 안은 듯 한 모습을 하고 있어서 안에서는 밖을, 밖에서는 안을 볼 수 없는 풍수지리적으로 완벽한 환포장풍(環抱藏風)한 곳이라 하겠다. 이곳의 주산과 청룡과 백호는 노적봉(金體)의 형태을 하고 있으며 백호가 청룡을 감싸고 있어 전형적인 명당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묫골의 중심건물의 향은 남향이며 안산은 백호맥이 마을을 감싸고 형성된 부봉체가 안산(案山) 역할을 하고 있어서 이러한 풍수지리적 환경을 갖추는 곳에서는 분명 귀한 인물이 나고 부를 가져다주는 것으로 본다. 국회의장을 지낸 박준규씨와 삼성 창업주인 고 이병철 회장의 부인 박두을(2000년 작고)여사도 이곳 출신이다.

    마을에는 일산이 지었다는 정자인 '태고정'(보물 제554호)이 있다. 조선 명필인 한석봉이 쓴 '太古亭(태고정)'과 안평대군의 글씨인 '一是樓(일시루)'라는 현판이 있다. 입구에는 사육신 이야기와 마을의 내력을 알려주는 '사육신기념관'도 있다. 전화번호 (011-822-0787)

    -->
    양동주 精通風水地理硏究學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