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두꺼비 Bufo gargarizans

수미심 2017. 10. 11. 04:32

두꺼비 Bufo gargarizans Cantor

분류 동물 >척색동물문>양서강>개구리목>두꺼비과>두꺼비속 

두꺼비과(―科 Bufonidae) 두꺼비속(―屬 Bufo)에 속하는 양서류다. 형태는 개체에 따라 몸빛이 다양하고, 등 색깔은 다갈색, 황토색, 적갈색 등을 띤다. 온몸에 돌기가 오돌토돌 나 있으며, 암컷은 수컷에 비해 몸집이 크고 다리가 가늘고 길다. 입주변에는 검은 선이 있다. 크기는 80~170mm, 보통 150mm 이하다. 번식기 이외에는 땅(산지의 밭, 숲 등지의 그늘이나 낙엽 밑)에서 주로 생활한다.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2월 말~3월에 태어난 장소인 산지 주변의 저수지나 물이 고인 논에서 짝짓기를 하는데, 수컷 간의 경쟁이 치열하여 암컷 한 마리에 서너 마리의 수컷이 엉겨 붙어 있는 광경을 쉽게 볼 수 있다. 번식기에 수컷은 무엇이든지 꼭 끌어안는 습성이 있는데, 앞발가락에 사포처럼 꺼칠꺼칠한 검은 생식 혹(육괴)으로 암컷의 가슴을 꼭 쥐고 있어 암컷 가슴의 피부에 구멍이 나기도 한다. 암컷은 수컷을 등에 업고 두 줄로 염주 모양의 9~12m 길이의 긴 알주머니를 물풀이나 벼 밑동에 붙여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올챙이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60~70일가량 지난 후 변태를 하여 땅 위로 올라온다.  

더터비, 두텁, 둗거비라고도 하였으며 한자로는 섬여(蟾蜍), 섬제(詹諸), 나하마(癩蝦蟆) 등으로도 불린다. 학명은 Bufo bufo gargarizans CANTOR.이다.

주로 밤에 활동하지만, 번식 시기에는 낮에도 모습을 드러낸다. 도로의 개통과 포장도로의 차량 증가로 도로에서 죽는 로드킬 사례가 많아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 전역에 서식하는데, 주로 저산지대의 밭이나 초원에 서식한다. 산란기인 봄이 되면 연못에 모여들어 집단번식을 하며, 장마 때는 인가로 모여든다. 먹이는 주로 곤충의 유충을 먹으며 육상달팽이·노래기·지렁이 등도 먹는다.

‘두꺼비 보은’ 설화는 두꺼비에게 밥을 나누어주던 처녀가 마을 당신(堂神)의 제물로 바쳐지게 되었을 때, 두꺼비가 사람을 잡아먹던 지네를 죽이고 자기도 죽었다는 이야기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두꺼비는 은혜를 갚을 뿐 아니라 한 마을의 화근을 제거하는 영웅적 행위를 한 동물이기도 하다.

두꺼비에 관한 기록은 비교적 일찍부터 나타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애장왕 10년 6월에 개구리와 두꺼비가 뱀을 먹는 사건이 기록되어 있고, 백제본기에는 의자왕 20년 4월에 개구리와 두꺼비 수만 마리가 나무 위에 모였다는 기록이 있다. ‘삼국유사’ 권3의 전후소장사리조(前後所將舍利條)에도 지장법사가 가져온 사리와 가사를 지키는 동물로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두꺼비는 나라의 흥망을 나타내는 조짐으로, 또는 불보(佛寶)를 보호하는 신령스런 동물로 기록에 나타나고 있다. 민간에서는 두꺼비가 나오면 장마가 든다고 하고, 두꺼비를 잡으면 죄가 된다고도 한다.

 

 

두꺼비 독은 두꺼비의 피부에 있는 샘, 특히 귀에있는 샘에서 분비되는 불투명한 흰색의 끈적한 독을 말한다. 성분은 스테로이드 배당체와 스베릴아르기닌 등의 결합물로서 주로 심근(心筋) 및 미주신경 중추에 작용한다. 동물의 피하에 주사하면 경련을 일으키고 심실이 딱딱하게 수축된 상태가 되어 죽는다. 독소는 주로 부포닌 ·부파긴 ·부포탈린 등이 알려져 있다. 강심제로 사용된다. 그 독은 아주 위험하여 뱀도 이 두꺼비를 잡아먹으면 그 독 때문에 죽는다, 그러나 그 자체는 위험한 독성이지만 아주 미량으로 화합시킨 제약은 오히려 강심제 약으로도 쓰인다. [복을 가져다 준다는 두꺼비 두물머리에서 만난 사진]

출처 : 생태사진여행[ecoeyefocus]
글쓴이 : 들꽃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