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손으로 한옥 짓는 법」 공부하기 메모
어처구니 없다
어처구니는 두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맷돌의 손잡이를 말하고
또하나는 궁궐 지붕에 만들어 놓은 동물 토우상을 말한다
8. 한옥의 지붕부재
1. 지붕 3개 부재와 3개 지지점
ㅇ처마의 3개 부재는 추녀, 서까래(평자서까래,선자서까래)와 평고대 이다
ㅇ추녀와 서까래의 3개 지지점은 평고대, 처마도리, 중도리 지점이다
-서까래는 중도리, 처마도리에 지지되고, 평고대는 서까래에 지지된다
-단, 선자서까래는 4지점이다. 갈모산방(삼각형 나뭇조각으로 서까래를 걸기 위함)
ㅇ한옥 처마곡선은 안허리곡과 앙곡을 가진 삼차원 곡선이다
2. 처마와 서까래
ㅇ처마의 깊이는 여름, 겨울의 일광과 관계있다
ㅇ처마끝과 방바닥의 각도는 대체로 58~62도 이다
ㅇ집의 좌향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처마와 기둥중심선의 방바닥 각도 60도가 보통이다
ㅇ우리나라 하지와 동지의 일광 각도와 처마각도 비교
ㅇ서까래의 굵기는 처마깊이의 1/10정도로 한다.
-처마 깊이가 보통 4자(120cm)이면 4치(12cm) 두께로 쓴다
ㅇ서까래 간격은 1자 정도로 하지만 굵기를 감안한다
ㅇ평고대 지점이 모여 처마곡선인 안허리곡과 앙곡을 실현한다
ㅇ알추녀와 사래를 이용한 추녀 높이기
ㅇ집의 규모에 따른 서까래 지지점.
<<참고문헌>>
「 한옥 짓는 법」 - 김종남 지음, 돌베개 간행
「 한옥의 멋」 - 신광철 지음, 한 문화사 간행
「 한옥 짓는 이야기」 - 정민자 지음, 중앙M&B 간행
「 전통 한옥의 조영원리와 공간활용 」 - 삼진건축사사무소 이봉수 소장(문화재기술자/건축사)
「 한옥 견실시공 정착」 - 전라남도 워크샵 자료(2010년)
「 한옥의 특징과 신한옥 기술 정책방향」 - 한옥정책 Brief No3(2011.12월) / 한옥기술개발연구단장 김왕직 외
「 한옥시공 메뉴얼 및 표준설계도서」 - 전라남도 자료
외
-------------------------------------------------------------------------------------
한옥을 찾아서 - 우산
영화당
창덕궁 부용지를 안고 있는 영화당의 추녀
-------------------------------------
풍수지리
7. 수세론(水勢論)
ㅇ 수세 개요
ㅇ 풍수에서 진혈의 양대요건인 용(산)과 수에서
물의 현상을 관찰하는 방법과 이법상으로 산과 물의 궁합을 논하는 것이다
-산은 음이요 물은 양이기 때문에 음양배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ㅇ풍수지리의 화복에서 산은 자손과 관련있고 물은 재물과 관련있다고 본다
-山管人丁, 水管財物
ㅇ水勢者 穴前去來之水也 龍穴之緊證者也
-수세는 혈의 긴요한 증거가 된다
즉, 수세론이란 물의 다과, 천심, 곡직, 완급,청정,오탁 등 물의 형세를 보고
또한 득파와 좌향과의 길흉관계를 이기법으로 보는 것이다
ㅇ물의 형세
장서에서도 득수가 우선이요 장풍이 다음이라고 했다
ㅇ길격수세
-혈을 향해 들어오는 來水가 구곡지현이로 굽이굽이 오면 登科貴人이 기약된다
-용혈과 명당을 횡류하는 물이 다정하게 감싸 휘돌면 治産家富가 기약된다
-명당수에서 나가는 물(去水)가 머뭇머뭇 흘러나가면 자손이 성하고 부자가 난다
-지호수가 맑고 깊고 깨끗하면 역시 자손이 성하고 부자가 된다
-융취수(혈앞에 모여든 물)가 느릿느릿 휘돌아 나가면 길격형세이다
ㅇ흉격수세
-직사수,할각수,준급수,격단수,반도수,경사수
ㅇ발원과 도당
-오는 물이 짧고 가는 물이 길면 역량이 없다
ㅇ물의 삼세 : 득수, 취수, 거수
물이 들어오고 머물다 나가는 것을 말한다
-수구는 명당수의 나가는 곳을 말하며 파구, 거수처라 한다
-득수는 혈을 향해 흘러오는 물이 처음 보이는 곳을 말한다
내파는 국 안에 명당수가 합쳐 흘러나가는 곳을 말한다
-백호가 길면 음수구, 청룡이 길면 양수구가 되며 자손에
각각 여자 또는 남자가 더 많게 된다
ㅇ길수
조회수, 위신수, 취면수, 공배수, 입구수, 구곡수,
탕취수, 회류수, 암공수, 요대수, 융저수, 창판수
ㅇ흉수
폭면수, 사협수, 충심수, 반신수, 반궁수, 천비수, 射脇수, 교검수
누시수, 할각수, 월견수
ㅇ물의 형세를 보는 수세론과 함께 물의 이법적인 면을 보는
수법론도 있다
ㅇ포태수법론, 수구4국포태법, 향상4국포태법, 좌상4국포태법
9성수법, 보성수법론, 정음정양수법, 삼합오행수법, 격팔상생법
장생수법 등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