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하품을 하는 진짜 이유

수미심 2014. 1. 8. 05:15

 

하품을 하는 진짜 이유!?

사랑을 알게 되면 |

하품을 자주하는데요

하품은 어떤 이유에서 하는거죠?

졸려서 하는건 아닌것 같은데요 ....

잠을 많이 잔날도 하품이 나오더라구요..

하품을 하는 진짜 이유를 알고싶어요!!!

 

                         

하품이 나오는 이유

혈액속의 산소부족 때문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뇌속에 공급되는 산소를 더 많이 늘리기 위해서 입니다.

뇌가 피곤해진다는 것은 뇌가 기능을 많이 활동했다는 것도 되지만

뇌속에 산소가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됩니다. 이게 우리몸은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뇌속에 산소를 더 많이 공급하고자 활발히 움직이게 됩니다.

피곤하면 괜히 몸은 피곤하지만 심장이 빨리 뛴다는 것을 느낀다는지

잠이 온다던지 하는 것 말입니다. 하품을 하게 되는 이유는 뇌속의 산소를 늘리기 위해 평상시보다 공기를 더 많이 마셔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품을 하면 맑아지나?
하품을 하면 왜 정신이 맑아지는가? 졸음이 쏟아지면 하품이 저절로 나오게 마련 입니다. 그러나 점잖은 자리나 회의석상에서는 하품을 참으려고 무척 애를 씁니다. 하품의 생리기능을 알고 나면 서로서로 하품을 권장하는 것이 예의일지도 모릅니다. 하품은 한마디로 자연스럽게 나오는 심호흡.

뇌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 하품이 나옵니다.

뇌는 다른 기관보다 산소를 대량으로 소비합니다.

호흡으로 흡입하는 산소의 거의 25%를 뇌가 소비하므로

산소가 부족해지면 긴급 보충책으로 하품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하품을 하면 순간적으로 정신이 맑아지는 부수입이 있습니다.

이는 입을 크게 벌리면 씹을 때 움직이는 교근이 강하게 움직여져 대뇌피질을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왕 하품을 하려면 가능한 한 입을 크게 벌리고 등을 쭉 펴서 하면 볼품은 사납겠지만 더욱 효과적입니다.

또 운전할 때 졸음이 오면 입을 크게 벌렸다가 닫는 것을 되풀이하면

아주 효과가 높다고 합니다.

하품할때 소리나지 않는이유
고막은 음파에 의한 압력이 고막 양편에 있는 외이도(귓구멍 어귀로부터 고막에 이르는 S자 모양의 관)와 중이 사이의 압력과 상호 작용하여 진동하게 됩니다. 그런데 우리의 몸은 중이와 코, 입이 이관에 의해서 서로 연결이 되어 있고 이 사이에 공기가 통하고 있기 때문에 중이와 외이도 사이의 압력이 서로 평행을 유지하여 고막에서 외부의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하품을 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입 안에 있는 공기의 작용이 중이에 전달되어, 고막 양쪽에 있는 중이와 외이도 사이의 압력이 평형을 잃어버려 순간적으로 외부 소리의 진동을 느끼지 못하여 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됩니다. 물론 잠시후면 이관을 통하여 양쪽의 공기 압력이 평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곧 정상을 회복하게 됩니다.

 

하품할때 눈물 나오는 이유
슬퍼지면 눈물이 나오지만 하품을 해도 눈물이 나옵니다. 눈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눈물이 조금씩 흐르고 있습니다. 이 눈물로 눈에 들어온 작은 티끌을 씻어내거나, 영양소나 산소를 각막(눈동자의 바깥 벽의 앞에 둥근 접시 모양으로 된 투명한 막)공급합니다. 또한 눈물 속의 Lysozyme(라이소자임: 효소의 일종; 세균의 세포를 녹임.)는 효소에는 살균력이 있어서 눈의 표면을 항상 무균(균이 없음) 상태로 유지시켜 줍니다.
눈물은 눈가쪽의 윗눈꺼풀에 있는 눈물샘에서 나와 눈의 표면을 씻어낸 다음, 눈의 안쪽 구석에 있는 *누낭(눈물주머니) 이라는 주머니에 한번 모였다가 콧구멍 속으로 흘러나가는데, 하품을 하면 얼굴의 근육이 움직여서 이 주머니를 누르기 때문에, 괴어 있던 눈물이 밖으로 흘러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러 번 계속해서 하품을 하면 누낭이 고갈되어 끝에 가서는 더 이상 눈물이 나오지 않게 됩니다. 

                                            

몸이 피로하거나 수면이 부족하거나 정신 상태가 단조롭거나 일에 재미가 없을 때 또는 늦게 일하게 될 때나 아침에 일찍 일어났을 때,

그리고 추워할 때 사람들은 늘 하품을 한다.

하품의 원인은 중추신경계에서 산소결핍이나 피로, 기능이상 등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하품을 일으키는 정확한 원인이나 관련된 신경회로, 그리고 하품이 지니는 생리적 의미는 충분히 밝혀지지 못한 상태이다.

하품을 할 때는 눈을 감고 입을 크게 벌리며 심호흡을 하는데 사지, 얼굴, 목, 혀, 인후부의 근육이 당겨 수축하고, 대뇌의 흥분 활동이 잠시 약화되고 호흡이 길어지며 전신에 있는 대부분의 근육을 이완시키고, 외계의 자극에 대한 감도가 낮아지면서 사람들은 잠깐 휴식을 취하게 된다.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체력이 왕성하고 생활이 규칙적이고 정상적으로 신체를 단련하며 큰 이상을 품고 있는 사람은 하품을 자주 하지 않는다. 그러나 체질이 약하고 수면이 부족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생활이 불규칙적이며, 활동하기 싫어하는 경우는 하품을 많이 한다.

 

하품은 왜 할까? 당신이 몰랐던 6가지

입력 F 2013.06.11 08:21 수정 2013.06.12 08:19

 

우리는 피곤할 때만 하품을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산소가 부족해서 하는 것도 아닌 것으로 보인다. 사람이 왜 하품을 하는지에 대해 수많은 이론이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는 드물다. 10일 미국 허핑턴포스트는 6가지 핵심 사실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하품은 뇌를 식히는 작용이며 사회적 감정 이입의 결과다.

◆뇌를 식히는 기능을 한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하품의 기능은 뇌를 식히는 데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입을 크게 벌렸다 닫는 동작은 코 옆의 동굴인 부비동을 팽창 후 수축시킨다. 이렇게 해서 부비동은 풀무처럼 뇌에 공기를 불어넣어 온도를 낮춰준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보도다. 이에 따르면 여름보다 겨울에 하품을 많이 한다. 여름에는 외부 공기가 따뜻해서 뇌를 냉각시키는 효과가 적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지루하면 더 많이 한다. 1986년 시행된 소규모 연구에 따르면 그렇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 색채의 패턴을 본 학생들이 30분짜리 록 비디오를 본 그룹에 비해 하품을 많이 했다.

◆전염되는 이유는 감정 이입

실제로 전염된다. 하품 비디오들을 본 사람 중 50%는 하품을 시작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심지어 동물도 그렇다. 2004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침팬지, 비비 사이에서도 하품은 전염된다. 개는 주인이 하품하는 소리만 들어도 하품을 시작할 수 있다. 심지어 생각하거나 읽기만 해도 전염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그렇게 이상한 반응은 아니다. 매릴랜드 대학 심리학과의 보러트 프로빈 교수는 웃음도 전염되는 것은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전염 이유는 감정이입에 있다는 연구결과가 많다. 미국 수면의학회의 대변인인 마이클 데커 박사는 “하품은 심리적 현상이라기 보다 사회적 현상으로 파악되는 추세”라고 말한다. 우리가 피곤하지 않을 때 하품을 하는 것도 이 때문일지 모른다.

◆가까운 사이면 전염성이 더 크다

2012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절친끼리 전염성이 가장 높았다. 유전적으로나 감정적으로 가까운 사이일수록 하품을 따라 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데커 교수에 따르면 이는 감정이입 이론을 뒷받침해주는 것이다. 가족이나 절친 사이에서는 서로 간에 감정적 유대가 더 크기 때문이다.

◆질병의 신호일수도 있다

무슨 심각한 질병의 주요 증상은 아니다. 하지만 과도한 하품은 잠이 심각하게 부족한 증상 이외의 것일 수도 있다. 미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심장에 문제가 있어서 이것이 미주신경에 영향을 미친 탓일 수 있다. 드문 경우지만 뇌의 이상도 과도한 하품으로 나타날 수 잇다.

◆태아도 하품을 한다

아무도 그 이유를 모르지만 심지어 태아도 하품을 한다. 2012년 발표된 4차원 스캔 분석에 따르면 입만 벌리는 것과 하품을 하는 동작은 구별된다. 이는 뇌의 발달과 관련이 있을 지도 모른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또한 태아가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중이라는 마커로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라이브 사이언스가 보도했다.

◆평균 지속시간은 6초

많은 매체가 하품의 지속시간은 약 6초라고 보도했다. 이 시간 동안 심장 박동이 크게 빨라진다. 2012년의 한 연구에선 하품을 하기 전과 하는 도중, 한 이후에 일어나는 많은 생리적 변화가 하품에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순히 숨을 깊이 쉴 때와는 다른 변화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