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려장 설화

수미심 2013. 11. 24. 07:07
늙은 부모를 산 채로 버리던 나쁜 습속이 없어지게 된 내력에 대한 설화.
 
'고려장이 없어지게 된 유래',
'고려장 없앤 이인(異人) 어머니', '기로전설'(棄老傳說) 등으로도 불린다.

고려장이 없어지게 된 내력은 2가지로 구전되고 있다.

고려 때는 사람이 늙으면 산 채로 버리는 것이 법이었다.

어떤 효자의 아버지(또는 어머니)가 늙어 고려장을 행해야 했다.

그러나 부모를 차마 버릴 수 없었던 아들은 고려장을 했다고 소문을 낸 뒤

부모를 몰래 집안에 숨겨두고 모셨다.

그러던 어느날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어려운 문제를 내며 답을 맞춰보라는 요구를 해왔다.

문제로는 비슷하게 생긴 2마리 말의 어미와 새끼 구별하기,

깎아놓은 나무의 위·아래 구별하기, 코끼리의 무게 달기 등이었다.

아무도 문제를 풀지 못하는데, 숨어 지내던 효자의 부모가 문제를 풀어 국난을 모면했다.

임금이 상을 주려 하자 효자는 국법을 어기고 몰래 모시고 있던

부모가 답을 알려주었음을 고백하며 고려장을 폐지하자고 하여

그뒤 고려장이 없어졌다고 한다.

이와는 다른 내력의 이야기도 있다. 옛날에는 사람이 늙으면 산 채로 버리는 풍습이 있었다.
어떤 사람이 늙은 아버지를 지게에 져다 버렸다. 그런데 지게를 두고 돌아가려 하자
따라온 어린 아들이 그 지게를 가지고 가려 했다.
이유를 물었더니 자기도 아버지가 늙으면 이 지게에 지고 와서 버려야 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이 말을 듣고 크게 뉘우쳐 늙은 아버지를 다시 집으로 모셔갔으며,
그뒤 고려장이라는 악습이 없어졌다고 한다.

 

 

고려장은 우리의 부끄러운 역사이다!?

 

 

고려시대에 부모가 늙으면 갖다 버리는 폐습을 의미하는 고려장은

역사적 문헌이나 고고학적으로 뒷받침되는 자료가 없다고 하는데요.

사실 고려시대에는 반역죄와 함께 불효죄를 엄벌하고 충효를 중시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고려장이라는 말이 생긴 이유는 일제시대에 일본인이 조선인의 조상 무덤을 도굴하면서

"조선에는 고려시대부터 자기 부모를 생으로 고려장시킨 사람의 무덤이므로 파헤쳐도 괜찮다"는 논거로

조선인 인부를 회유하여 무덤을 파헤치게 되면서 생긴 용어라고 합니다. 

 

[출처] 진실 혹은 거짓, 우리가 잘못알고 있는 상식들|작성자 OTO무료국제전화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말*♣
-농경(弄璟) : 막 태어났을 때를 의미하는 것
   : 예전에는 아들을 낳으면 구슬[璟]장난감을 주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유래한 말이고 아들을 낳은 경사를
     농경지경(弄璟之慶)이라고 합니다.
-농와(弄瓦) : 마찬가지로 딸을 낳으면 실패(瓦)장난감을  !
주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딸을 낳은 경사를
농와지경(弄瓦之慶)이라고 합니다.

2~3세-제해(提孩): 제(提)는 손으로 안는다는 뜻입니다.
해(孩)는 어린아이란 뜻이죠.아기가 처음 웃을
무렵(2~3세)을 뜻하는 것입니다.해아(孩兒)라고 쓰기도 합니다.


15세-지학(志學): 공자(孔子)가 15세에 학문(學文)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
.육척(六尺):주(周)나라의 척도에
   1척(尺)은 두 살 조금 지난 아이의 키를 뜻합니다.
    그래서 6척은 15세를 뜻합니다.
삼척동자 (三尺童子)란 말 아시죠?
    10살이 채 못된 아이를 일컫는 말입니다.

16세-과년(瓜年): 과(瓜)자를 파자(破字)하면`八八'이 되므로
여자 나이 16세를 나타냅니다. 특별히 16세를 강조한 것은
옛날에는 이 때가 결혼 적년기였기 때문입니다.


20세-약관(弱冠): 20세 전후한 남자.
요즘은 없어졌지만 옛날에는  원복(元服;어른 되는 성례 때 쓰던 관)식을 행했다고 합니다.
禮記,`곡례편(曲禮編)'에 "二十日 弱하니,冠이라"하여 `20세는
약(弱)이라 해서 갓을 쓴다'는 뜻인데,
그 이미는 갓을 쓰는 어른이 되었지만 아직은 약하다는 뜻입니다..
-방년(芳年): 20세를 전후한 왕성한 나이의 여자.
꽃다운(芳) 나이(年)를 뜻합니다.

30세-이립(而立): 공자(孔자)가 30세에 자립(自立)했다고
     말한데서 유래하였습니다.

40세-불혹(不惑): 공자(孔子)가 40세에 모든 것에 미혹(迷惑)
    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강사(强仕):[예기]에"四十日强 而仕"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마흔살을 강(强)이라 하는데, 이에 벼슬길에 나아간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여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48세-상년(桑年): 상(桑)의 속자(俗字)는 `十'자 세 개 밑에
     나무 목(木)! 쓰는데, 이를 파자(破字)하면 `十`자 4개
     와 `八`자가 되기 때문입니다.

50세-지명(知命); 孔子가 50세에 天命(인생의 의미)을
     알았다는 뜻. 知天命을 줄인 말이죠.

60세-이순(耳順): 공자(孔子)가 60세가 되어 어떤 내용에
      대해서도 순화시켜 받아들였다는 데서 유래.

61세-환갑(還甲): 회갑(回甲), (還歷)이라고도 합니다.
       태어난 해의 간지(干支)로 돌아간다는 뜻이죠.

-화갑(華甲):화(華)자를 파자(破字)하면 십(十)자 여섯
 !번과 일(一)자가 되어 61세라는 뜻입니다.

62세-진갑(進甲): 우리나라에서 환갑 다음해의 생일날.
     새로운 갑자(甲子)로 나아간다(進)는 뜻입니다.

64세-파과(破瓜): 과(瓜)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八`이 되는데
     여자는 8+8해서 16세를 과년이라 합니다.
     그런데 남자는 8×8로 64세를 말하고
벼슬에서 물러날 때를 뜻하는 말입니다.
70세-종심(從心): 공자(孔子)가 70세에 마음먹은 대로 행동
     해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 從心所欲 不 踰矩에서 준말.

-고희(古稀): 두보(杜甫)의 시 `곡강(曲江)`의 구절
     "人生七十古來稀 (사람이 태어나 70세가 되기는
     예로부터 드물었다)"에서 유래하였습니다.


   71세-망팔(望八): 팔십살을 바라 본다는 뜻.
    71세가 되면 이제 80세까지 바라보게 되죠.

77세-희수(喜壽): 희(喜)자를 초서(草書)로 쓸 때 "七十七"
     처럼 쓰는 데서 왔습니다. 일종의 파자(破字)죠.

80세-산수(傘壽) : 산(傘)자의 약자(略字)가 팔(八)을 위에
       쓰고 십(十)을 밑에 쓰는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

81세-반수(半壽): 반(半)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十一"이
      되는 데서 왔습니다.


-망구(望九): 구십살을 바라 본다는 나이, 81세에서
  90세까지 장수(長壽)를 기원하는 말입니다. 할망구`
  라는 말 들어 보셨죠? `할망구`의 어원이~망구`입니다.


88세-미수(米壽):미(米)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十八"입니다.
     혹은 농부가 모를 심어 추수를 할 때까지 88번의
     손질이 필요하다는 데서 여든 여덟살을 표현합니다.


90세-졸수(卒壽): !
(卒)의 속자(俗字)가 아홉 구(九)자 밑에
      열 십(十)자로 사용 求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동리(凍梨): 언[凍]배[梨]의 뜻. 90세가 되면 얼굴에
       반점이 생겨 언 배 껍질 같다는 말입니다.



91세-망백(望百): 71세 때 80을  바라보았다면
       91세면 백살을 바라 봐야 되겠지요?



99세-백수(白壽): 백(百)에서 일(一)을 빼면 백(白)자가
     됨으로 99세를 나타냅니다.
     재미있는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