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신종 '푸어(poor)'

수미심 2013. 11. 14. 07:55

 

 

김현아의 아파트·주택 돋보기 이 카테고리의 다른 기사보기

고령이면서 수입 없으면 신종 '푸어(poor)' 된다

    

  • 김현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경제연구실 실장
    E-mail : hakim@cerik.re.kr
  • 입력 : 2013.11.13 11:22        

              

    ‘푸어(poor)’ 신조어가 봇물이다. 집 가진 빚쟁이 ‘하우스푸어’부터

     

    풀타임으로 일해도 빈곤을 벗어나지 못하는 ‘워킹푸어’

     

    결혼을 하기 위해 받은 대출을 갚느라 허덕이는 ‘웨딩푸어’까지

     

    푸어의 유형도 다양하다.

    이들 푸어는 대부분 천년층이나 중년층을 비유하고 있다.

     

    딱히 고령층에 빗댄 표현은 없다. 그렇다면 고령층에서는 푸어가 없을까?

    고령이면서 소득 없으면 ‘고자산 푸어’ 될 수도

    우리나라 가구의 자산 구조를 보면 은퇴를 앞둔 고령 저소득 취약계층일수록 부동산 처분 압박이 커진다. 지방 중소도시의 고령가구는 앞으로 사회적 문제가 될 가능성도 크다.

    고도성장기에는 토지의 개발과 거래가 활발하다 보니 부동산을 처분하기도 상대적으로 쉬웠다. 그러나 지금은 사정이 다르다. 특히 논 밭으로 구성된 토지나 임야는 처분하기가 쉽지 않다. 저성장에 개발보다 보전과 관리에 중점을 두는 현 상황에서 토지의 가치는 점점 떨어질 것이다.

    이 때문에 자산은 있으나 현금화 할 수 없는 부동산 빈곤층이 중 저소득층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들 가구 중에서 고정적인 금융소득이 없는 가구는 보유세를 내는 것이 버거워질 수 있다. 당장 자산이 있다는 이유로 정부 지원이나 보조금을 받기도 힘들다.

    자산은 있지만, 현금 소득이 없어 각종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는 ‘고자산 빈곤층’ ‘고자산 푸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수 있다.

    고자산 빈곤층 피하려면 자산도 다이어트해야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산 다이어트와 리모델링이 반드시 필요하다. 고령화 시대는 원활한 부동산 처분과 현금화에 대한 고민이 본격적으로 필요한 시기다.

    과도한 부채를 줄이는 것은 물론 유동성이 낮은 부동산 자산비중을 줄이고, 보유 부동산을 수익화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주택연금이나 역모기지, 계속 거주를 조건으로 주택을 매각하는 ‘세일 앤 리스백’ 등과 같은 유연한 처분방식을 고려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소속 국가들은 가계의 부동산 자산 중 80~90%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이다. 반면 통계청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전체 부동산 자산에서 거주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60~70% 수준에 그친다. 우리나라 가계는 직접 거주하는 주택 이외에 토지, 임야, 기타 건축물 등 부동산 자산을 추가로 보유하는 비중이 높다는 뜻이다.

    평균 연령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면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은퇴 이후의 삶이 생애 주기에서 가장 긴 부분을 차지하게 될 날이 머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는 안락한 주거지와 일정 금액 이상의 소비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