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갑 닫는 업소여성

수미심 2013. 7. 2. 08:49

지갑 닫는 업소여성, 한숨짓는 주변 상권

흥청망청 밤문화 실종… 강남 유흥가도 불황의 그림자

동아일보|입력2013.07.02 03:16|수정2013.07.02 03:21

 

[동아일보]

유흥업소에서 일하는 정모 씨(여)는 최근 2년 넘게 살던 서울 강남구 논현동을 떠나 동작구 사당동으로 이사했다. 근무지가 논현동과 역삼동인 것을 감안하면 다소 먼 곳이다. 타고 다니던 외제차는 중고차 시장에 팔고 국산차로 바꿨다. 샤넬 등 해외 유명 브랜드 가방도 대부분 처분했다. 그가 갑작스럽게 '긴축'에 들어간 이유는 돈벌이가 잘 안되기 때문이다. 정 씨는 "업소에 손님이 뚝 끊겨 미용실에서 머리 손질하는 비용도 아까울 때가 있다"며 "서울 강북 지역이나 세종시 등으로 간 동료들도 꽤 있다"고 말했다.





유흥업소 손님이 줄면서 업소에서 일하는 여성들뿐만 아니라 유흥업소 밀집 지역의 다른 업종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1년 새 침체 분위기를 맞고 있는 서울 강남구 논현동 일대. 김범석 기자 bsism@donga.com

○유흥업소 여성들 씀씀이 줄어





화려한 밤 문화를 자랑했던 서울 강남 유흥업계에 불황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졌다. 서울시가 집계한 식품접객업소 통계에 따르면 서울 시내 단란주점은 지난해 3164곳으로 2003년(4640개)에 비해 31.8% 줄었다. 논현1동 내 단란주점은 6월 현재 80개로 최근 1년 새 15개가 없어졌다.

양주 판매도 직격탄을 맞았다. 한국주류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위스키 출고량은 2389kL로 2008년(8218kL)에 비해 29.1% 수준으로 줄었다. 위스키는 80∼90%가 단란주점이나 룸살롱 등 유흥주점에서 소비된다.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전반적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됐고 과음과 2차, 3차로 이어지는 회식을 자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정연우 대신증권 연구원은 "핵가족화에 1, 2인 가구가 늘면서 여가 생활이나 스트레스 해소를 집에서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유흥업소 여성 종사자들은 일이 끊기면서 씀씀이를 줄이고 있다. 이 때문에 유흥업소 밀집 지역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영업을 하던 다른 업종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논현동과 역삼동 등에서 다른 지역으로 주거지를 옮기는 사례가 늘었다. 서울 강남에서 부동산중개사사무소를 운영하는 허모 씨(39)는 "인근 오피스텔의 경우 유흥업소 종사자들이 사는 방이 20개에서 최근에는 8개로 줄었다"고 말했다. 150만 원에 이르는 월세를 아끼려고 20만∼30만 원 정도 싼 관악구 신림동이나 동작구 사당동, 강남구 개포동 등으로 옮기고 있는 것이다.

인근 미용실들도 손님이 끊겨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밤에 일하는 유흥업소 종사자들이 미용실을 찾는 시간은 오후 6∼9시다. 역삼동 한 미용실의 관계자는 "예전에는 하루에 많게는 70명 이상 손님을 받을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20∼30명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 이들 미용실에선 머리 손질은 10회 15만 원, 화장은 10회 35만 원 등 대부분 한꺼번에 '쿠폰'을 구입해 서비스를 받는다. 이 관계자는 "미용실에서 머리 손질과 화장을 하고 나가도 '공치는' 날이 많다 보니 다들 미용실 출입 횟수를 줄이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해외 유명 브랜드 업계도 영향

논현동에서 해외 유명 브랜드 중고 매장을 운영하는 박모 씨(47)는 요즘 매출이 지난해의 절반 아래로 떨어져 폐점을 고민 중이다. 그는 "이전에는 하루 평균 스무 명 넘게 매장을 찾기도 했는데 요즘은 아예 한 명도 오지 않을 때도 있다"며 "월세(150만 원) 내기도 버거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근 백화점 내 해외 브랜드 매장들도 영향을 받고 있다. 유흥업소 종사자들은 평소 마네킹이 입고 있는 해외 유명 브랜드 제품을 큰 고민 없이 사는 등 충동 구매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화점 매장도 이들을 통해 고정적으로 매출을 올려왔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유흥업소 여성들이 현금으로 결제하는 비율이 90%에서 40%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그만큼 여유가 없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수입차 시장에도 이들의 발길이 끊겼다. 한 외국 자동차 브랜드 매니저는 "과거에는 유흥업소 종사자로 보이는 여성들이 한 달 평균 10명 정도 외제차를 샀는데 지금은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신 하루 1만∼2만 원을 내는 불법 영업차인 '콜 뛰기'나 택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불황 극복을 위해 자구책을 마련하는 업체도 있다. 양주업계에선 위스키를 유흥업소가 아닌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 팔기 위해 '가족과 함께 마시는 양주' '진정한 위스키 향을 느낄 수 있는 멘토링 프로그램' 등의 마케팅을 벌이고 있다. 강남의 일부 미용실에선 오후 5∼8시에 실내에서 담배를 피울 수 있게 하는 '흡연 마케팅'까지 하고 있다.

여준상 동국대 교수(경영학)는 "유흥업소 종사자들은 수는 많지 않지만 과시욕이 강하고 소비 지향적이기 때문에 관련 산업들이 필요 이상 성장한 경향이 있었다"며 "이들의 소비 감소에 따른 관련 산업 침체는 한국 사회가 투명한 사회가 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한 주류업계 관계자는 "단순히 유흥업계가 침체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유흥업소 종사 여성들이 소비를 줄이면 유통산업이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범석·권기범·장관석 기자 bsism@donga.com